val randomUUID: UUID = UUID.randomUUID().toString()
// 결과 : f47ac10b-58cc-4372-a567-0e02b2c3d479
이런식으로 랜덤으로 된 고유한 값을 받고싶을 때 UUID 을 이용하면 간편하다.
UUID 는 java 의 기본클래스로, 128비트(16바이트) 길이의 식별자로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한다.
매번 호출할 때마다 다른 UUID 가 생성되기 때문에 그때에 맞춰서 값을 이용하면 된다.
그럼 이렇게 항상 랜덤으로 생성되는 값을 어디서 사용하냐 ?
-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키 ( Primary Key ) : autoGenerate 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랜덤으로 생성한 고유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.
- 세션 식별자 및 토큰 : 값이 랜덤이고 값이 중복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자주 사용한다.
- 더미 데이터 생성 : 더미 데이터를 생성할 때 UUID 를 반복해서 생성해서 값을 넣어주면 편리하다.
'Android > 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] OS 버전 조회 하는 방법 (0) | 2024.03.16 |
---|---|
[Kotlin] Storage 이미지 저장, 불러오기, 삭제 (0) | 2023.12.19 |
[Kotlin] 이미지 다운로드받기 - ByteArray Image Download (0) | 2023.11.29 |
[Kotlin] 애널리틱스 로그 보내기 - Analytics (4) | 2023.11.26 |
[Kotlin] 상태바 상태 변경하기 - StateBar Changes (1) | 2023.11.25 |